[Lv.0] 수열과 구간 쿼리 1 queries를 반복 하면 요소 2개가 담긴 배열들이 하나씩 나올 것이다. 이때 0번째 와 1번째를 s,e 에 각각 담아서 s 부터 e 까지 반복되도록 반복문을 하나 더 만들고 증가하는 값들은arr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해당 하는 값에 +1 을 해준다. 코드는 다음 과 같다.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arr: IntArray, queries: Array): IntArray { var answer: IntArray = intArrayOf() for ( qArray in queries){ var s = qArray[0] var e = qArray[1] for ( i in s .. e){ .. [Lv.0] n보다 커질 때까지 더하기 numbers 리스트를 반복문 으로 요소들을 하나씩 더하다가 n 보다 커니면 break으로 빠져나오고 그때의 answer 값을 return 하면 될 것 같다. 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numbers: IntArray, n: Int): Int { var answer: Int = 0 var sum = 0 for (i in numbers) { answer += i if ( answer > n ) break } return answer }} 다사풀참 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numbers: IntArray, n: Int) .. [Lv.0] 할 일 목록 finished를 반복문을 사용하여 false 일 때, 인데스 값으로 todo_list 값을 저장하면 될 것 같다.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todo_list: Array, finished: BooleanArray): Array { var answer: Array = arrayOf() for (i in todo_list.indices) { if (!finished[i]) answer += todo_list[i] } return answer }}다사풀참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todoList: Array, finished: BooleanA.. [Lv.0] 5명씩 단순히 인덱스가 5의 배수일 때 이름을 넣으면 될 것 같다.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names: Array): Array { var answer: Array = arrayOf() for (i in names.indices) { if( i % 5 == 0){ answer += names[i] } } return answer }}다사풀참 [Lv.0] 홀수 vs 짝수 num_list 를 반복하면서 짝수 일 때 와 홀 수 일 때 각각 합산하고 그것을 비교한뒤 answer에 값을 답아 리턴 해보자 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num_list: IntArray): Int { var answer: Int = 0 var l_num = 0 var r_num = 0 for (i in num_list.indices) { if(i%2==0){ l_num += num_list[i] }else{ r_num += num_list[i] } } answer = if ( l_nu.. [Lv.0] n개 간격의 원소들 num_list를 For문으로 반복하면서 n 일 때, answer에 값을 넣는 코드를 구현 했다.n 간격 이니깐 n += n 을 해주자. 음 일부만 성공 했다. num += num 에서 문제 인 것 같아 다음 과 같이 수정 하였다.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num_list: IntArray, n: Int): IntArray { var answer: IntArray = intArrayOf() var num = n answer = answer.plus(num_list[0]) for ( i in num_list.indices) { if( i == num){ answer = ans.. [Lv.0] n 번째 원소까지 코드가 곧 내용!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num_list: IntArray, n: Int): IntArray { var answer: IntArray = intArrayOf() answer = answer.plus(num_list.slice(0 until n )) return answer }}다사풀참 [Lv.0] 왼쪽 오른쪽 str_list 에서 l 과 r 을 찾는다. 그리고 그때의 인덱스 값과 l 이면 true를 r 이면 false를 가지고 추후 왼쪽과 오른쪽을 구분할 생각이다.문자 l 또는 r 을 찾은 인덱스 값으로 true이면 0부터 인덱스까지 false이면 인덱스에서 리스트 끝까지 slice 하는 코드를 만들었다.class Solution { fun solution(str_list: Array): Array { var answer: Array = arrayOf() var index = 0 var type = true for (i in str_list.indices) { if (str_list[i] == "l"){ index = i .. 이전 1 2 3 4 5 6 7 8 ··· 17 다음